티스토리 뷰
건설업 종사자라면 2025년 상반기 임금 노임단가표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. 최근 평균 임금이 전년 대비 1.93% 상승했으며, 일부 직종에서는 큰 변동이 있었습니다. 이 글을 통해 임금 변화, 노임단가 활용법, 새로운 직종 등장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립니다.
🔹 2025년 상반기 건설업 평균 임금 변화
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건설업 임금이 발표되었습니다.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, 몇몇 직종에서는 변동이 있었습니다.
📌 주요 직종별 임금 변화
직종명 | 2025년 적용 임금 | 2024년 대비 변화 |
---|---|---|
작업반장 | 213,033원 | ⬆ 1.47% 상승 |
특별인부 | 221,506원 | ⬆ 1.00% 상승 |
비계공 | 279,433원 | ⬇ 1.03% 하락 |
형틀목공 | 272,831원 | ⬇ 0.83% 하락 |
용접공 | 278,326원 | ⬆ 2.81% 상승 |
조적공 | 266,624원 | ⬇ 1.19% 하락 |
✅ 작업반장·특별인부 상승! 건설업 인력 수요 증가로 인해 현장 관리 및 특별 작업 인력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해당 직종 임금이 상승했습니다.
❌ 일부 직종 하락! 비계공·형틀목공·조적공의 경우 건설 현장 구조 변화 및 자동화 증가로 인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.
🔹 보통인부 평균 임금
보통인부의 경우 현장별로 일급이 다르며, 다음과 같은 평균 임금이 적용됩니다.
- 공사부문 평균임금: 3,396,080원 (하루 169,804원 × 20일 기준)
- 제조부문 평균임금: 2,252,125원 (하루 90,085원 × 25일 기준)
🔹 2025년 새롭게 추가된 직종
이번 발표에서는 새로운 직종이 추가되었습니다. 이는 건설업의 변화와 새로운 기술 도입을 반영하는 것입니다.
✅ 새롭게 추가된 직종
- 흙막이공
- 전철전공
- 교통정리원
- 철거공
💡 기회! 새롭게 추가된 직종은 앞으로 수요가 많아질 가능성이 큽니다.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미리 취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🔹 노임단가표 활용법! 이렇게 사용하세요
노임단가표는 단순한 임금 정보가 아닙니다. 이를 활용하면 계약 및 공사 비용 산출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🛠 노임단가표 활용법 3가지
- 비교 분석: 직종별 평균 임금을 비교하여 인건비 예측 가능
- 계약서 작성: 임금을 바탕으로 적절한 계약 금액을 설정 가능
- 예산 계획: 프로젝트 예산을 수립할 때 비용을 정확하게 계산 가능
🔹 2025년 최저임금과 비교
최저임금도 2025년부터 인상되었습니다. 시급 10,030원으로, 월급(209시간 기준)으로 환산하면 2,096,270원입니다. 이는 기존 대비 약 3만 5천 원 증가한 금액입니다.
📌 자세한 노임단가표 및 임금표 다운로드
전체 노임 단가표를 확인해야 한다면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.
🔹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2025년 상반기 건설업 평균 임금은 얼마만큼 상승했나요?
A1. 전년 대비 1.93% 상승하였습니다.
Q2. 임금이 오른 직종은 어디인가요?
A2. 작업반장(1.47%), 특별인부(1.00%), 용접공(2.81%) 등이 상승했습니다.
Q3. 임금이 하락한 직종도 있나요?
A3. 네, 비계공(-1.03%), 형틀목공(-0.83%), 조적공(-1.19%)의 임금이 하락했습니다.
Q4. 새로운 직종이 추가되었나요?
A4. 네, 흙막이공, 전철전공, 교통정리원, 철거공 등의 새로운 직종이 포함되었습니다.
Q5. 노임단가표를 어디에 활용할 수 있나요?
A5. 인건비 예측, 공사비 산출, 계약서 작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🔹 마치며
2025년 상반기 건설업 엔지니어링 임금 노임단가표는 건설업 종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입니다. 임금 상승 여부, 직종별 변화, 새로운 직업의 등장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노임단가표를 꼭 확인하여 여러분의 경력과 미래를 대비하세요!